会员体验
专利管家(专利管理)
工作空间(专利管理)
风险监控(情报监控)
数据分析(专利分析)
侵权分析(诉讼无效)
联系我们
交流群
官方交流:
QQ群: 891211   
微信请扫码    >>>
现在联系顾问~
热词
    • 7. 发明专利
    • KR102228882B1 - Bio inspired dragon fly, fruit fly based evasive movement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 KR102228882B1
    • 2021-03-16
    • KR1020190082123A
    • 2019-07-08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수용실비
    • G05D1/00B64D47/00G05D1/10
    • G05D1/0011B64C39/024B64D47/00G05D1/101B64C2201/146
    • 본 발명은 생체 모방 기법을 활용한 드론 회피 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목적지를 향해 비행하는 드론과, 드론과의 통신을 통해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지상 통제소(원격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드론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생체 모방 기법을 활용한 드론 회피 기동방법으로서, a) 상기 드론에 시동(start up)을 걸어 드론을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지상 통제소에 의해 드론을 이륙시켜 드론이 미리 설정된 목적지를 향해 비행하도록 하고, 초기 설정비행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드론의 비행 중에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주변의 장애물을 촬영 및 드론에 설치된 센서들에 의해 각각 해당하는 감지 요소들을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요소들을 지상 통제소 또는 드론에 설치된 제어 모듈에 의해 특정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e)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지상 통제소 또는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적 탐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f) 상기 판별 결과, 적이 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지상 통제소 또는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회피 기동 작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드론에 의해 상기 지상 통제소 또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회피 기동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회피 기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9. 发明专利
    • KR20210026330A - Apparatus for grating and squeeze
    • KR20210026330A
    • 2021-03-10
    • KR1020190106940A
    • 2019-08-29
    • 농업회사법인369삼주식회사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영태심을섭
    • A23N1/02
    • A23N1/02
    • 본 발명은 분쇄액추출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분쇄액추출 복합장치(1)에 있어서,
      특정 장소의 바닥면(지면)에 안치되어 위치하도록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하우징수단(100);과, 상기 본체하우징수단(100)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200);과, 상기 동력발생수단(20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동력발생수단(2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재료를 분쇄, 미분하는 그레이팅수단(400);과, 상기 그레이팅수단(4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레이팅커버하우징수단(500);과, 상기 동력발생수단(20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동력발생수단(2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재료로부터 액을 추출하는 스퀴즈수단(600); 및 상기 스퀴즈수단(6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스퀴즈커버하우징수단(700);으로 구성되되,
      그레이팅커버하우징수단(500)과 스퀴즈커버하우징수단(700)이 직렬 또는 병렬로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결과물(분쇄, 미분된 재료 또는 액)이 배출되는 유로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그레이팅커버하우징수단(500)을 조작하여 유로를 변경시키면, 그레이팅수단(400)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재료를 분쇄, 미분하는 그레이팅모드(M1);로,
      스퀴즈커버하우징수단(700)을 조작하여 유로를 변경시키면, 스퀴즈수단(600)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재료로부터 액을 추출하는 스퀴즈모드(M2);로,
      그레이팅커버하우징수단(500)의 유로와 스퀴즈커버하우징수단(700)의 유로가 연결되도록 변경시키면, 그레이팅수단(400)에 의해 분쇄, 미분된 재료가 스퀴즈수단(600)으로 투입되어 재료로부터 액을 추출하는 그레이팅-스퀴즈모드(M3);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서,
      재료의 분쇄, 미분과, 액 추출의 두 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재료를 다양한 성상(性狀)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활용성 및 효용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 10. 发明专利
    • KR20210026329A - Oil extractor machine
    • KR20210026329A
    • 2021-03-10
    • KR1020190106939A
    • 2019-08-29
    • 농업회사법인369삼주식회사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최종갑
    • 김영태심을섭최종갑
    • C11B1/06A23D9/02
    • A23D9/02B30B9/02C11B1/06
    • 본 발명은 오일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오일 추출기(1)에 있어서,
      내부에 위치한 샤프트(510) 및 익스펠러스크류(5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익스펠러스크류(520)의 회전에 의해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럴하우징부(400);가 구성되되,
      배럴하우징부(400)는,
      지지브라켓부(300)의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내부에 샤프트(510)와, 익스펠러스크류(520)의 일부가 위치되고, 일측이 호퍼부(600)와 결합되어 재료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재료투입구(411)가 형성된, 샤프트(510) 및 익스펠러스크류(520)를 보호, 익스펠러스크류(520)의 회전에 의해 재료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제 1배럴(410);과, 상기 제 1배럴(410)의 단부에 결합, 고정되어, 동일 중심축선을 형성하고, 내부에 익스펠러스크류(520)의 일부가 위치되고,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오일이 배출되도록 외주연에 일정 배열로 오일배출유로(421b)가 형성된, 익스펠러스크류(520)를 보호하는, 항아리 형상의 제 2배럴(420);로 구성되어,
      호퍼부(600)를 통해 재료투입구(411)로 투입되는 재료가 배럴하우징부(400) 내부에 위치한 익스펠러스크류(520)의 회전에 의해 이송(feed)되면서 압력이 가해져 제 2배럴(420)의 오일배출유로(421b)로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과,
      제 1배럴(410), 제 2배럴(420)이 각각 별도로 분리되도록 하여, 익스펠러스크류(520) 및 배럴하우징부(400)의 유지, 보수 관리의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오일 추출기의 관리의 용이성은 물론, 활용성의 향상으로 인한 효용성의 제고로 오일을 추출하는 작업 현장의 환경을 개선시킨다는 이점이 있다.